(자료사진) /뉴스1

 

 은행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됐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새 7조원이나 늘면서 3년4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사상 유례없이 가팔랐던 기준금리 인상에도 연초부터 부동산 시장이 꿈틀대며 가계부채 감축(디레버리징)에 사실상 종지부를 찍은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통화 당국은 아직은 가계대출 증가세가 매우 빠르다고 보기 어렵다고 일축했다.

한국은행이 12일 공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 6월 예금은행 가계대출은 한 달 만에 5조9000억원 증가했다.

가계대출 증가 폭이 5월(4.2조원)과 비교해 1조7000억원 확대된 것이다.

이는 2021년 9월(6.4조원) 이후 2년9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세다.

은행 가계대출은 올 들어 3월까지만 해도 감소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4월(2.3조원) 증가세로 돌아서더니 5월(4.2조원)에는 증가 폭이 더욱 확대됐다.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늘었다.

6월 주택담보대출은 한 달 새 7조원 늘어나면서 전월(4.2조원)의 증가 폭을 뛰어넘었다.

증가 폭이 2020년 2월(7.8조원) 이후 3년4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전세자금대출도 1000억원 늘었는데 이는 전월(-0.6조원)까지의 감소세를 뒤집은 것이다.

 

(한은 제공)
(한은 제공)

윤옥자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담보대출 증가 배경에 대해 "작년의 부진했던 주택 거래가 회복된 점과 연말부터 연초까지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규제가 상당 폭 완화된 점이 주택 구입 관련 자금 수요를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정책 모기지론 취급도 많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또 "주택 입주 물량(4.2만호) 역시 5월(2.8만호)에 비해 많이 늘면서 잔금 마련 수요가 확대됐다"면서 "전세자금대출도 5월까지는 감소하다가 6월 소폭 늘어난 점이 주택담보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부연했다.

주택담보대출과 가계대출은 7월에도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윤 차장은 "5월에도 주택 거래가 늘어났다"며 "3월부터 주택 거래가 확대된 부분이 시차를 두고 영향을 주면서 가계대출은 증가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가계대출 증가 폭이 커 보이는 것은 사실이나 기타대출이나 비은행대출 등을 전체적으로 놓고 보면 증가 규모가 크다고 볼 수는 없다"며 "아직은 전체적인 증가 흐름이 매우 빠르다는 정도는 아니고 속도를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1조1000억원 줄어들면서 감소세가 지속됐다. 오히려 가정의 달이었던 5월(-500억원)의 계절적 요인이 사라지면서 감소 폭이 확대됐다.

6월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062조300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다시 썼다.

 

(자료사진) /뉴스1
(자료사진) /뉴스1

은행 기업대출은 5조5000억원 증가했다. 상반기를 끝맺는 시기였던 탓에 증가 규모가 5월(7.8조원)보다는 축소됐다.

역대 6월 증가액 기준으로는 통계 속보치 작성을 시작한 2009년 6월 이래 두 번째로 큰 수치를 기록했다.

은행 수신은 38조4000억원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수시입출식예금이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 등을 위한 법인 자금 유입으로 37조1000억원 늘었다.

정기예금은 예금금리 상승 등으로 가계와 기업 자금이 유입되면서 4조4000억원 증가세를 이어갔다.

자산운용사 수신도 3조3000억원 증가로 전환했다.

 

경제투데이 www. e-today.kr

경제투데이는 경제, 금융, 기업, 산업, 부동산, 정책 등 다양한 경제 분야의 최신 뉴스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제투데이는 20년 21년 22년 연속해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언론보도평가에서 '경제보도' 부문에서 '우수' 등급을 받았습니다. 경제투데이는 독자 평가와 영향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로써 경제투데이는 독자들에게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경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경제 전문지 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안내 기사의 수정 및 삭제는 정기구독자 에게만 서비스 합니다